① 제동력이 떨어진다.
③ 편제동으로 인해 옆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④ ABS는 빗길 원심력 감소, 일정 속도에서 제동 거리가 어느 정도 감소되나 절반 이상 줄어들지는 않는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긴급 상황 시 브레이크 고장 등으로 제어가 불가능할 때 충격 흡수 시설을 활용하는 것은 최후의 안전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차량과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대형 사고를 막는 중요한 방법이므로 위치를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설명 |
---|
1. Khi phát sinh hiện tượng trượt nước thì lực phanh của phanh cao hơn bình thường. 수막현상은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얇은 물의 막이 생겨 접지력을 잃는 현상입니다. 이때는 마찰력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브레이크를 밟아도 제동력이 매우 떨어져 차량이 미끄러지기 쉽습니다. |
2. Khi có sự cố thì việc sử dụng tường bảo vệ va chạm là một trong những cách phòng tránh tai nạn lớn. 충격 흡수 방호벽은 브레이크 고장 등 비상 상황에서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최후의 안전장치입니다. 차량이 단단한 구조물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막고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Nếu đạp phanh gấp khi mặt đường có khí ẩm thì luôn bị trơn trượt về hướng phía trước. 노면이 젖어있을 때 급브레이크를 밟으면, 각 바퀴의 제동력이 불균등하게 작용하는 편제동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차량은 직진하지 않고 한쪽으로 쏠리거나 회전하며 미끄러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
4. Xe có gắn ABS thì khoảng cách đạp phanh sẽ giảm một nửa. ABS는 제동 시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하여 조향 능력을 유지시켜주는 안전장치입니다. 제동 거리를 다소 단축하는 효과는 있지만, 절반 이상 줄여주는 것은 아닙니다. ABS의 가장 큰 장점은 제동 중에도 핸들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