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제동력이 떨어진다.
③ 편제동으로 인해 옆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④ ABS는 빗길 원심력 감소, 일정 속도에서 제동 거리가 어느 정도 감소되나 절반 이상 줄어들지는 않는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긴급 상황 시 브레이크 고장 등으로 제어가 불가능할 때 충격 흡수 시설을 활용하는 것은 최후의 안전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차량과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여 대형 사고를 막는 중요한 방법이므로 위치를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설명 |
---|
1. 发生水膜现象时,刹车制动能力比平时更高。 수막현상은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얇은 물의 막이 생겨 접지력을 잃는 현상입니다. 이때는 마찰력이 급격히 감소하므로 브레이크를 밟아도 제동력이 매우 떨어져 차량이 미끄러지기 쉽습니다. |
2. 紧急情况时,利用防撞墙是预防大型事故的方法之一。 충격 흡수 방호벽은 브레이크 고장 등 비상 상황에서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최후의 안전장치입니다. 차량이 단단한 구조물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막고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路面潮湿时如果急踩刹车,会一直向直行方向打滑。 노면이 젖어있을 때 급브레이크를 밟으면, 각 바퀴의 제동력이 불균등하게 작용하는 편제동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차량은 직진하지 않고 한쪽으로 쏠리거나 회전하며 미끄러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
4. 配备有ABS(防抱死制动装置)的车辆,制动距离可减短一半以上。 ABS는 제동 시 바퀴가 잠기는 것을 방지하여 조향 능력을 유지시켜주는 안전장치입니다. 제동 거리를 다소 단축하는 효과는 있지만, 절반 이상 줄여주는 것은 아닙니다. ABS의 가장 큰 장점은 제동 중에도 핸들 조작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