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순응(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갈 때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것이 시간이 지나 보이기 시작하는 현상) 및명순응(어두운 곳에서 밝은 곳으로 나왔을 때 점차 밝은 빛에 적응하는 현상)으로 인한 사고예방을 위해 터널을통행할 시에는 평소보다 10~20% 감속하고 전조등, 차폭등, 미등 등의 등화를 반드시 켜야 한다. 또, 결빙과 2차사고등을 예방하기 위해 일반도로 보다 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급제동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터널 진입 시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가 시야가 어두워지는 현상은 '명순응'이 아닌 '암순응'입니다. 따라서 암순응에 대비해야 한다는 설명이 맞으며, '명순응'이라는 잘못된 용어를 사용한 1번 선택지가 틀린 설명입니다.
설명 |
---|
1. 터널 진입 전, 명순응에 대비하여 색안경을 벗고 밤에 준하는 등화를 켠다. 밝은 곳에서 어두운 터널로 진입할 때 시야가 잠시 어두워지는 현상은 '명순응(明順應)'이 아닌 '암순응(暗順應)'입니다. 명순응은 반대로 어두운 터널을 나올 때 밝은 빛에 적응하는 현상입니다. 용어가 잘못 사용되었으므로 틀린 설명입니다. |
2. 터널 안 차선이 백색실선인 경우, 차로를 변경하지 않고 터널을 통과한다. 터널 안은 시야 확보가 어렵고 공간이 제한적이어서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따라 차로 변경을 금지하는 백색 실선이 설치된 경우, 차로를 변경하지 않고 주행하는 것이 안전 운전의 기본입니다. |
3.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급제동에 대비한다. 터널 내부는 어둡고 폐쇄된 공간이라 돌발상황 발생 시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 등)에 따라, 앞차가 급제동할 경우를 대비해 평소보다 안전거리를 더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연쇄 추돌 사고 예방의 핵심입니다. |
4. 터널 진입 전, 입구에 설치된 도로안내정보를 확인한다. 터널 입구에는 내부의 교통상황, 사고 정보, 작업 구간 등을 알려주는 도로안내정보 표지판이 설치된 경우가 많습니다. 진입 전 이 정보를 확인하면 터널 내 돌발 상황에 미리 대비할 수 있어 안전 운전에 큰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