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선생 자체해설
주행 중 타이어가 펑크 나면 차량이 한쪽으로 쏠리므로, 급제동이나 급핸들 조작은 매우 위험합니다. 따라서 핸들을 꽉 잡고 직진성을 유지하며, 브레이크 페달을 여러 번 나누어 밟고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해 안전하게 감속 후 정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설명 |
---|
1. 한 쪽으로 급격하게 쏠리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급제동을 한다. 타이어가 펑크 나면 차량 제어력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이때 급제동을 하면 차량이 균형을 잃고 스핀하거나 전복될 위험이 매우 커집니다.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는 이러한 돌발 상황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안전하게 제어해야 할 의무를 포함합니다. |
2. 핸들을 꽉 잡고 직진하면서 급제동을 삼가고 엔진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안전한 곳에 정지한다. 정답입니다. 타이어 펑크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차량의 제어력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핸들을 꽉 잡아 차량의 직진성을 유지하고, 급제동 대신 엔진 브레이크와 풋 브레이크를 가볍게 여러 번 나누어 밟아 부드럽게 감속해야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3. 차량이 쏠리는 방향으로 핸들을 꺾는다. 차량이 쏠리는 방향으로 핸들을 꺾으면 오히려 차량의 회전력이 커져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타이어 펑크 시에는 차량이 쏠리는 반대 방향으로 핸들을 미세하게 조작하거나, 직진 방향으로 꽉 잡아 차량의 자세를 바로잡는 것이 우선입니다. |
4.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주차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정지한다. 타이어 펑크와 브레이크 페달(풋 브레이크) 작동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주행 중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뒷바퀴만 잠기게 되어 차량이 급격히 회전(스핀)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비상시에도 주차 브레이크는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