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상황에 따라 빗길에서는 제한 속도보다 20퍼센트, 폭우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미터이내인 경우 50퍼센트 이상 감속 운전한다.
② 길 가는 행인에게 물을 튀지 않게 하기 위하여 1미터이상 간격을 두고 주행한다.
③ 비가 내리는 초기에 노면의 먼지나 불순물 등이 빗물에 엉키면서 발생하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는 상태에서 바퀴가 굴러가는 크리프 상태로 운전하는 것이 좋다.
④ 낮에 운전하는 경우에도 미등과 전조등을 켜고 운전하는 것이 좋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 노면이 가장 미끄러우므로 급조작을 피해야 합니다. 자동변속기 차량의 크리프(Creep) 현상을 활용하여 서행하는 것이 안전하므로, 크리프 운전이 좋지 않다는 3번 선택지는 틀린 설명입니다.
설명 |
---|
1. Tùy theo tình hình mà giảm tốc 50% so với tốc độ giới hạn.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 제2항에 따라 비로 노면이 젖었을 때는 20%, 폭우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일 때는 50%를 감속해야 합니다. 상황에 따른 감속은 빗길 안전 운전의 핵심입니다. |
2. Giữ khoảng cách thích hợp để không làm bắn nước lên người đi bộ trên đường. 도로교통법 제49조 제1항 제1호는 고인 물을 튀게 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물웅덩이를 지날 때 서행하는 것은 보행자를 배려하는 운전자의 기본 의무입니다. |
3. Lái xe trong tình trạng bánh xe lăn ì ạch, không đạp ga tăng tốc và phanh khi trời mới bắt đầu mưa là không tốt. 비가 막 내리기 시작하면 노면의 먼지나 기름이 빗물과 섞여 매우 미끄럽습니다. 이때는 급가속, 급제동을 피하고 자동변속기 차량의 크리프 현상을 이용해 부드럽게 서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좋지 않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
4. Nếu lái xe vào ban ngày thì nên bật cả đèn hậu và đèn pha trước rồi lái xe. 도로교통법 제37조 제1항에 따라 비 오는 날에는 낮에도 등화를 켜야 합니다. 이는 다른 운전자와 보행자가 내 차를 쉽게 인식하게 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중요한 안전 조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