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다음 중 우천 시에 안전한 운전방법이 아닌 것은?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① 상황에 따라 빗길에서는 제한 속도보다 20퍼센트, 폭우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미터이내인 경우 50퍼센트 이상 감속 운전한다.
② 길 가는 행인에게 물을 튀지 않게 하기 위하여 1미터이상 간격을 두고 주행한다.
③ 비가 내리는 초기에 노면의 먼지나 불순물 등이 빗물에 엉키면서 발생하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는 상태에서 바퀴가 굴러가는 크리프 상태로 운전하는 것이 좋다.
④ 낮에 운전하는 경우에도 미등과 전조등을 켜고 운전하는 것이 좋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비가 내리기 시작할 때 노면이 가장 미끄러우므로 급조작을 피해야 합니다. 자동변속기 차량의 크리프(Creep) 현상을 활용하여 서행하는 것이 안전하므로, 크리프 운전이 좋지 않다는 3번 선택지는 틀린 설명입니다.

설명

1. 상황에 따라 제한 속도에서 50퍼센트 정도 감속 운전한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 제2항에 따라 비로 노면이 젖었을 때는 20%, 폭우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일 때는 50%를 감속해야 합니다. 상황에 따른 감속은 빗길 안전 운전의 핵심입니다.

2. 길 가는 행인에게 물을 튀지 않도록 적절한 간격을 두고 주행한다.

도로교통법 제49조 제1항 제1호는 고인 물을 튀게 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물웅덩이를 지날 때 서행하는 것은 보행자를 배려하는 운전자의 기본 의무입니다.

3. 비가 내리는 초기에 가속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는 상태에서 바퀴가 굴러가는 크리프(Creep) 상태로 운전하는 것은 좋지 않다.

비가 막 내리기 시작하면 노면의 먼지나 기름이 빗물과 섞여 매우 미끄럽습니다. 이때는 급가속, 급제동을 피하고 자동변속기 차량의 크리프 현상을 이용해 부드럽게 서행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좋지 않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4. 낮에 운전하는 경우에도 미등과 전조등을 켜고 운전하는 것이 좋다.

도로교통법 제37조 제1항에 따라 비 오는 날에는 낮에도 등화를 켜야 합니다. 이는 다른 운전자와 보행자가 내 차를 쉽게 인식하게 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중요한 안전 조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