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기상정보, 교통상황에 대한 도로결빙 정보를 통해 안전운전이 필요하다. ③ 제설제 살포 후 녹은 눈이 강설,염수 등과 함께 재 결빙될 우려가 있어 감속운행을 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제설제가 살포된 결빙 구간이라도 녹은 눈이 다시 얼어붙는 '블랙 아이스' 현상으로 인해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서행 운전을 기본으로 해야 안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설명 |
|---|
1. When driving on roads in winter, you should check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raffic conditions in advance before driving. 올바른 설명입니다. 겨울철 운전 전 기상 및 교통 정보를 확인하는 것은 안전 운전의 가장 기본적인 준비 단계입니다. 폭설, 결빙 등 예상되는 위험에 미리 대비하고 운행 계획을 세우는 것은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의 취지에도 부합하는 현명한 운전 습관입니다. |
2. Extra caution should be exercised when driving through tunnels and bridge sections that are vulnerable to icing. 올바른 설명입니다. 교량, 터널 입출구, 고가도로, 그늘진 커브길 등은 지표면보다 온도가 낮아 눈이 더 쉽게 얼어붙어 '블랙 아이스'가 생기기 쉽습니다. 운전자의 눈에 잘 보이지 않아 방심하기 쉬우므로, 이런 구간에서는 더욱 속도를 줄이고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3. If de-icing agents have been applied before and after snowfall near tunnels and bridges, it is possible to drive at the usual speed limit safely.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으로, 문제의 정답입니다. 제설제가 뿌려졌더라도 녹은 눈이 염수와 섞여 도로 위에 남아있다가 기온이 다시 내려가면 더 미끄러운 '블랙 아이스'로 변할 수 있습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 제2항은 노면이 얼어붙은 경우 최고속도의 100분의 50으로 감속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설 작업 후에도 반드시 감속 운행해야 합니다. |
4. Some city or provincial police agencies have regulations requiring the use of winter equipment when driving on snowy or icy roads. 올바른 설명입니다. 도로교통법 제6조(통행의 금지 및 제한)에 따라 각 시·도경찰청장은 교통안전을 위해 필요시 특정 구간의 통행을 제한하고, 스노체인과 같은 월동장구 장착을 의무화하는 고시를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강원도 등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폭설 시 특정 도로에서 이 규정을 적용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