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리막길은 차체의 하중과 관성의 힘으로 인해 풋 브레이크에 지나친 압력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저단기 어(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풋 브레이크의 압력을 줄여 주면서 운행을 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내리막길에서는 차량 무게와 가속도로 인해 브레이크에 큰 부담이 가므로, 엔진 브레이크와 풋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여 제동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이는 풋 브레이크의 과열로 인한 제동력 상실(페이드 현상)을 예방하는 핵심적인 운전 방법입니다.
설명 |
---|
1. Only use the foot brake because shifting gears is not necessary. 오답입니다. 내리막길에서 풋 브레이크만 계속 사용하면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의 마찰열이 급격히 높아져 제동력이 급감하는 '페이드 현상'이나 브레이크액이 끓는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위험천만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한 방법입니다. |
2.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use the parking brake immediately. 오답입니다. 주행 중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주차 브레이크는 주로 뒷바퀴를 잠그기 때문에, 주행 중 사용하면 차량이 균형을 잃고 회전(스핀)할 수 있습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1조에서도 주차 브레이크는 정차 또는 주차 시에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주행 중 제동장치로 사용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
3. Use the same gear you used when driving up the slope. 정답입니다. 이는 내리막길 운전의 중요한 안전 수칙입니다. 오르막길을 오를 때 사용했던 저단 기어는 내리막길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엔진 저항을 발생시켜 차량 속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를 통해 풋 브레이크의 과열을 방지하고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4. Use both the foot brake and engine brake properly. 정답입니다. 가장 안전하고 표준적인 내리막길 운전 방법입니다. 엔진 브레이크(저단 기어)로 기본적인 속도를 제어하고, 풋 브레이크를 간헐적으로 사용하여 추가 감속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제동 장치의 부담을 분산시켜 과열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제동력을 유지하는 최선의 방법으로,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서 규정하는 안전운전 원칙에 부합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