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리막길은 차체의 하중과 관성의 힘으로 인해 풋 브레이크에 지나친 압력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저단기어(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풋 브레이크의 압력을 줄여 주면서 운행을 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내리막길에서는 풋 브레이크만 계속 사용하면 브레이크 성능이 저하되는 '페이드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엔진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여 브레이크 과열을 막고 안전하게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올라갈 때와 같은 저단 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엔진 브레이크 방법입니다.
설명 |
---|
1. 기어 변속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으므로 풋 브레이크만을 사용하여 내려간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긴 내리막길에서 풋 브레이크만 계속 사용하면 마찰열로 인해 브레이크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페이드 현상'이나 브레이크액이 끓는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제동력을 상실하는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절대적으로 피해야 할 운전 방법입니다. |
2.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바로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주차 브레이크는 주행 중 사용하도록 설계되지 않았습니다. 주행 중 갑자기 사용하면 뒷바퀴가 잠겨 차가 회전하는 등 통제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이 완전히 멈춘 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주행 중에는 최후의 비상 상황에서만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합니다. |
3. 올라갈 때와 동일한 변속기어를 사용하여 내려가는 것이 좋다. 안전한 운전 방법입니다. 오르막길을 올라갈 때 사용했던 낮은 단수의 기어(예: 2단 또는 3단)는 내리막길에서도 효과적인 엔진 브레이크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지는 것을 막고 풋 브레이크의 부담을 줄여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4. 풋 브레이크와 엔진 브레이크를 적절히 함께 사용하면서 내려간다. 가장 안전하고 표준적인 운전 방법입니다. 엔진 브레이크(저단 기어)로 주된 감속을 하고, 풋 브레이크는 필요할 때만 간헐적으로 사용하여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두 가지 제동 방식을 함께 사용하면 브레이크 과열을 방지하여 제동력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