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빗길 주행 중 앞차가 정지하는 것을 보고 제동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바르지 않은 2가지는?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① 급제동 시에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로 차량의 앞숙임 현상이 발생한다. ② 빗길에서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력이 낮아짐으로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③ 수막현상과 편(偏)제동 현상이 발생하여 조향방향이 틀어지며 차로를이탈할 수 있다. ④ 자동차의 타이어가 마모될수록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빗길에서는 노면 마찰력이 줄어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마모된 타이어는 이를 더욱 악화시킵니다. 공주거리는 노면 상태가 아닌 운전자 반응 속도에 따라 달라지며, 타이어 마모가 심할수록 제동거리는 짧아지는 것이 아니라 길어집니다.

설명

1. 급제동 시에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로 차량의 앞숙임 현상이 발생한다.

맞는 설명입니다. 급제동 시 차량의 관성에 의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앞부분이 내려앉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력, 그리고 서스펜션의 작용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인 물리 현상으로 '노즈 다이브(nose-dive)'라고도 합니다.

2. 노면의 마찰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빗길에서는 공주거리가 길어진다.

틀린 설명이므로 정답입니다. 공주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기까지 차량이 이동하는 거리로, 운전자의 반응속도와 차량 속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빗길처럼 노면 마찰력이 작아지는 것은 브레이크가 작동한 후 멈추기까지의 거리인 '제동거리'를 길게 만듭니다.

3. 수막현상과 편(偏)제동 현상이 발생하여 차로를 이탈할 수 있다.

맞는 설명입니다. 수막현상은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수막이 생겨 접지력을 잃는 현상이며, 편제동은 브레이크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입니다. 두 현상 모두 빗길에서 발생하기 쉬우며, 차량 조종 능력을 상실시켜 차로를 이탈하는 등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자동차타이어의 마모율이 커질수록 제동거리가 짧아진다.

틀린 설명이므로 정답입니다. 타이어의 마모가 심할수록 트레드(타이어 표면의 홈) 깊이가 얕아져 배수 성능이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수막현상이 쉽게 발생하고 노면과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제동거리는 오히려 길어집니다. 안전을 위해 타이어 마모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