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Which of the following is NOT true about icy roads during winter months?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① 아스팔트보다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가 결빙이 더 많이 발생한다. ② 콘크리트보다 아스팔트 포장된 도로가결빙이 더 늦게 녹는다. ③, ④ 동일한 조건의 결빙상태에서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포장된 도로의 노면마찰계수는0.3으로 건조한 노면의 마찰계수보다 절반 이하로 작아진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겨울철에는 도로 포장재의 종류와 결빙 상태에 따라 노면 마찰계수가 크게 달라집니다.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건조할 때 마찰계수가 가장 높고, 결빙 시에는 급격히 감소하므로 결빙된 노면의 마찰력 변화를 이해하고 감속 운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번 선택지는 건조한 노면의 마찰계수 값을 비현실적으로 높게 제시하여 틀린 설명입니다.

설명

1. Icy roads are more common on concrete roads than on asphalt.

이 내용은 맞는 설명입니다. 콘크리트는 아스팔트보다 열을 적게 흡수하고 빨리 방출하는 특성이 있어 온도가 더 쉽게 내려갑니다. 이 때문에 겨울철 밤이나 그늘진 곳에서 아스팔트 도로보다 결빙이 더 쉽게, 그리고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Ice melts slower on asphalt roads than on concrete.

이 내용은 맞는 설명입니다. 아스팔트는 어두운색이라 햇빛을 잘 흡수하지만, 열전도율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한번 얼어붙은 얼음은 콘크리트 도로보다 더 천천히 녹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조건이라도 더 오래 미끄러울 수 있습니다.

3. The friction coefficient of an asphalt surface increases to 1.6 when dry.

이 설명은 잘못되었으므로 문제의 정답입니다. 마찰계수는 접지력을 나타내는 수치로, 건조한 아스팔트 노면의 마찰계수는 보통 0.7~0.9 수준입니다. 1.6은 비현실적으로 높은 수치이며, 특히 결빙 시 마찰계수는 0.3 이하로 급격히 '작아져' 매우 미끄러워집니다.

4.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road friction coefficients of frozen concrete and asphalt surfaces are equal.

이 내용은 맞는 설명입니다. 도로 표면이 동일한 조건으로 완전히 얼음으로 덮인 상태(빙판길)에서는 포장재의 종류(콘크리트, 아스팔트)와 상관없이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계수는 약 0.3 수준으로 거의 같아집니다. 이는 얼음이라는 동일한 물질 위를 지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