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아스팔트보다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가 결빙이 더 많이 발생한다. ② 콘크리트보다 아스팔트 포장된 도로가결빙이 더 늦게 녹는다. ③, ④ 동일한 조건의 결빙상태에서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포장된 도로의 노면마찰계수는0.3으로 건조한 노면의 마찰계수보다 절반 이하로 작아진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겨울철에는 도로 포장재의 종류와 결빙 상태에 따라 노면 마찰계수가 크게 달라집니다.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건조할 때 마찰계수가 가장 높고, 결빙 시에는 급격히 감소하므로 결빙된 노면의 마찰력 변화를 이해하고 감속 운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번 선택지는 건조한 노면의 마찰계수 값을 비현실적으로 높게 제시하여 틀린 설명입니다.
설명 |
|---|
1. 아스팔트보다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가 결빙이 더 많이 발생한다. 이 내용은 맞는 설명입니다. 콘크리트는 아스팔트보다 열을 적게 흡수하고 빨리 방출하는 특성이 있어 온도가 더 쉽게 내려갑니다. 이 때문에 겨울철 밤이나 그늘진 곳에서 아스팔트 도로보다 결빙이 더 쉽게, 그리고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2. 콘크리트보다 아스팔트 포장된 도로가 결빙이 더 늦게 녹는다. 이 내용은 맞는 설명입니다. 아스팔트는 어두운색이라 햇빛을 잘 흡수하지만, 열전도율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한번 얼어붙은 얼음은 콘크리트 도로보다 더 천천히 녹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같은 조건이라도 더 오래 미끄러울 수 있습니다. |
3.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마찰계수는 건조한 노면일 때 1.6으로 커진다. 이 설명은 잘못되었으므로 문제의 정답입니다. 마찰계수는 접지력을 나타내는 수치로, 건조한 아스팔트 노면의 마찰계수는 보통 0.7~0.9 수준입니다. 1.6은 비현실적으로 높은 수치이며, 특히 결빙 시 마찰계수는 0.3 이하로 급격히 '작아져' 매우 미끄러워집니다. |
4. 동일한 조건의 결빙상태에서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포장된 도로의 노면마찰계수는 같다. 이 내용은 맞는 설명입니다. 도로 표면이 동일한 조건으로 완전히 얼음으로 덮인 상태(빙판길)에서는 포장재의 종류(콘크리트, 아스팔트)와 상관없이 노면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계수는 약 0.3 수준으로 거의 같아집니다. 이는 얼음이라는 동일한 물질 위를 지나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