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면의 결빙현상의 하나로, 블랙 아이스(black ice) 또는 클리어 아이스(Clear ice)로 표현되며 도로표면에 코팅한것처럼 얇은 얼음막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아스팔트의 틈 사이로 눈과 습기가 공기 중의 매연, 먼지와 뒤엉켜스며든 뒤 검게 얼어붙는 현상을 포함한다. 추운 겨울에 다리 위, 터널의 출입구, 그늘진 도로, 산모퉁이 음지 등그늘지고 온도가 낮은 도로에서 주로 발생한다.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지 않아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블랙 아이스는 도로 표면에 얇고 투명하게 형성되는 얼음 막으로, 아스팔트 색이 그대로 비쳐 운전자가 인지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햇볕에 반사되어 반짝인다는 설명은 일반 결빙 현상에 가까우며, 보이지 않아 더 위험한 블랙 아이스의 특징과는 다르므로 정답입니다.
설명 |
---|
1. It is a phenomenon in which a thin ice film forms like a coating on the road surface. 맞는 설명입니다. 블랙 아이스는 이름과 달리 검은색 얼음이 아니라, 도로 표면의 수분이 아주 얇고 투명하게 얼어붙는 현상을 말합니다. 마치 투명한 코팅을 한 것처럼 보여 도로의 검은 아스팔트 색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블랙 아이스'라고 불립니다. |
2. It is a phenomenon in which pollutants in the air are mixed with snow and moisture on the asphalt surface, absorbed, and then frozen into black ice. 맞는 설명입니다. 낮 동안 내린 눈이나 비가 아스팔트의 미세한 틈으로 스며든 후, 도로 위의 먼지, 타이어 분진, 배기가스 등 오염물질과 섞여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어두운 색을 띠며 얼어붙습니다. 이는 블랙 아이스가 형성되는 대표적인 원리 중 하나입니다. |
3. It occurs mainly in places with low temperatures during the winter season, such as on bridges, tunnel entrances, shady roads, and in the shade of mountain corners. 맞는 설명입니다. 지표면보다 공중에 노출되어 냉각이 빠른 다리 위나 고가도로, 터널 입구와 출구처럼 급격한 온도 변화가 있는 곳, 그리고 햇볕이 잘 들지 않는 산모퉁이나 그늘진 도로는 블랙 아이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대표적인 장소들입니다. |
4. It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the snow melts and seeps into the sunny road, and the black color of the road is reflected by sunlight and sparkles. 틀린 설명이므로 정답입니다. 블랙 아이스의 가장 큰 위험성은 육안으로 거의 식별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햇볕에 반사되어 반짝이는 것은 일반적인 빙판길의 특징으로 운전자가 위험을 미리 인지할 수 있지만, 블랙 아이스는 이러한 특징이 없어 방심하다 사고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