풋 브레이크 과다 사용으로 인한 마찰열 때문에 브레이크액에 기포가 생겨 제동이 되지 않는 현상을 베이퍼록(Vapor lock)이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풋 브레이크의 잦은 사용으로 발생한 열이 브레이크액을 끓게 하여 기포를 만드는 현상은 '베이퍼록'입니다. 이 기포 때문에 브레이크 유압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제동력을 잃게 됩니다. 따라서 긴 내리막길에서는 엔진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하여 브레이크 과열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설명 |
|---|
1. 스탠딩웨이브(Standing wave) 스탠딩 웨이브 현상은 타이어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에서 고속으로 주행할 때 타이어 접지면 일부가 부풀어 오르며 물결처럼 주름이 잡히는 현상입니다. 이는 브레이크액과 관련된 베이퍼록 현상과는 전혀 다른, 타이어 파손의 원인이 됩니다. |
2. 베이퍼록(Vapor lock) 정답입니다. 긴 내리막길에서 풋 브레이크를 계속 밟으면 마찰열로 브레이크액이 끓어 기포(Vapor)가 발생합니다. 이 기포가 브레이크 유압 전달을 방해하여 페달을 밟아도 제동이 되지 않는 '베이퍼록(Vapor Lock)' 현상이 나타나며, 이는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3. 로드홀딩(Road holding) 로드 홀딩은 자동차가 주행 중 노면에 얼마나 잘 밀착하여 안정성을 유지하는지를 나타내는 성능 지표입니다. 타이어, 서스펜션 등의 성능과 관련이 있으며, 제동이 되지 않는 특정 고장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가 아닙니다. |
4. 언더스티어링(Under steering) 언더스티어링은 코너링 시 운전자가 의도한 것보다 차량이 덜 회전하며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조향 특성 및 타이어 접지력과 관련된 용어로, 브레이크 시스템의 과열로 인한 제동 불량 현상과는 다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