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풋 브레이크 과다 사용으로 인한 마찰열 때문에 브레이크액에 기포가 생겨 제동이 되지 않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 는가?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풋 브레이크 과다 사용으로 인한 마찰열 때문에 브레이크액에 기포가 생겨 제동이 되지 않는 현상을 베이퍼록(Vapor lock)이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풋 브레이크를 길게 밟아 과열되면 브레이크액에 기포가 생겨 제동력을 잃는 현상은 베이퍼록(Vapor lock) 현상입니다. 긴 내리막길에서는 엔진 브레이크를 함께 사용해 브레이크 과열을 예방하는 것이 안전 운전의 핵심입니다.

설명

1. 스탠딩웨이브(Standing wave)

스탠딩웨이브는 타이어 공기압이 부족한 상태에서 고속으로 주행할 때 타이어 옆면에 주름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는 브레이크와 무관하며, 타이어 파열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오답입니다.

2. 베이퍼록(Vapor lock)

정답입니다. 긴 내리막길 등에서 풋 브레이크를 지나치게 사용하면 마찰열로 브레이크액이 끓게 됩니다. 이때 발생한 기포(증기)가 브레이크 유압 전달을 방해하여 제동이 되지 않는 현상을 베이퍼록이라고 합니다. 엔진 브레이크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3. 로드홀딩(Road holding)

로드홀딩은 자동차가 도로 표면에 잘 접지하여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성능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타이어, 서스펜션 등과 관련이 있으며, 브레이크액 기포로 인한 제동 불량 현상과는 다른 개념이므로 오답입니다.

4. 언더스티어링(Under steering)

언더스티어링은 자동차가 코너를 돌 때, 운전자가 의도한 것보다 회전이 덜 되어 바깥으로 밀려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조향(스티어링)과 관련된 현상으로, 브레이크 과열로 인한 제동력 상실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오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