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커브길 진입 이전의 속도 그대로 정속주행하면 도로이탈 위험이 있다.
② 커브길 진입 후에는 변속 기어비를 낮추어야 원심력을 줄인다.
③ 커브길에서 전륜구동 차량은 언더스티어(understeer)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④ 커브길에서 오버스티어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꺽어서 차량의 균형을 잡아주는 카운터 스티어 기술을 써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커브길에서 차량 뒤쪽이 미끄러지는 오버스티어 현상이 발생하면, 진행하려는 방향의 반대로 핸들을 조작하는 카운터 스티어 기술로 자세를 바로잡아야 합니다. 이는 안전한 커브길 주행의 핵심적인 대응 방법입니다.
설명 |
---|
1. Duy trì tốc độ như tốc độ trước khi vào đường cua để đi qua. 커브길에 진입하기 전 충분히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진입 전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면 원심력이 과도하게 작용하여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할 위험이 매우 커집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의 기본 원칙에 위배됩니다. |
2. Sau khi vào khúc cua, nên tăng tỷ số truyền động thay đổi tốc độ để giảm lực ly tâm. 커브길에서는 낮은 기어를 사용하여 엔진 브레이크를 활용하고 안정적인 구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기어비를 높이면(고단 기어) 엔진의 제동력이 약해져 원심력 제어가 어려워지고 차량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
3. Xe dẫn động cầu sau có thể xảy ra hiện tượng trượt hai bánh trước khi vào cua. 언더스티어 현상은 주로 전륜구동(FF) 차량에서 발생합니다. 가속 시 앞바퀴가 접지력을 잃어 조향이 의도대로 되지 않는 현상입니다. 반면, 후륜구동(FR) 차량은 뒷바퀴가 미끄러지는 오버스티어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4. Để giảm hiện tượng hai bánh sau trượt khi vào cua trên đường cua, phải quay vô lăng ngược hướng điều khiển từng chút một. 오버스티어는 차량 뒤쪽이 바깥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으로, 균형을 잃기 쉽습니다. 이때 핸들을 미끄러지는 방향과 반대로 조금씩 돌리는 '카운터 스티어' 기술을 사용하면 차체의 균형을 회복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