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커브길 진입 이전의 속도 그대로 정속주행하면 도로이탈 위험이 있다. ② 커브길 진입 후에는 변속 기어비를낮추어야 원심력을 줄인다. ③ 커브길에서 전륜구동 차량은 언더스티어(understeer)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④커브길에서 오버스티어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조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꺾어서 차량의 균형을 잡아주는카운터 스티어 기술을 써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커브길에서 차량 뒤쪽이 미끄러지는 오버스티어 현상이 발생하면,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돌리는 카운터 스티어 기술을 사용하여 차량의 자세를 바로잡아야 합니다. 이는 차량의 균형을 되찾고 안전을 확보하는 중요한 운전 기술입니다.
설명 |
|---|
1. 커브길 진입 이전의 속도 그대로 정속주행하여 통과한다. 오답입니다. 커브길에 진입하기 전에는 반드시 속도를 줄여야 합니다. 진입 전 속도를 유지하면 원심력이 커져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할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이는 ‘슬로우 인, 패스트 아웃’이라는 안전한 코너링의 기본 원칙에 어긋납니다. |
2. 커브길 진입 후에는 변속 기어비를 높혀서 원심력을 줄이는 것이 좋다. 오답입니다. 커브길에서는 엔진 브레이크 효과를 활용하고 안정적인 구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변속 기어를 한 단계 낮추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기어비를 높이면(고단 기어) 구동력이 약해져 원심력에 대처하기 어려워지고 차량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
3. 커브길에서 후륜구동 차량은 언더스티어(understeer)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오답입니다. 언더스티어는 주로 앞바퀴로 구동하고 조향하는 전륜구동(FWD) 차량에서 발생하기 쉬운 현상입니다. 반면, 뒷바퀴로 구동하는 후륜구동(RWD) 차량은 가속 시 뒷바퀴가 미끄러지며 차체 뒤쪽이 바깥으로 밀려나는 오버스티어 현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4. 커브길에서 오버스티어(oversteer)현상을 줄이기 위해 조향방향의 반대로 핸들을 조금씩 돌려야 한다. 정답입니다. 오버스티어는 차량의 뒷부분이 주행 경로보다 더 바깥쪽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입니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차량이 미끄러지는 방향(조향하려는 방향의 반대)으로 핸들을 순간적으로 돌려주는 '카운터 스티어' 기술을 사용해야 차량의 균형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