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선생 자체해설
터널 안 화재 사고 시,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면 신속히 터널 밖으로 이동하고, 불가능하다면 즉시 대피해야 합니다. 정답은 유독가스 흡입을 최소화하고 유도등을 따라 안전하게 대피하는 가장 올바른 방법을 설명합니다. 연기 반대 방향으로 몸을 낮춰 대피하는 것이 생존의 핵심입니다.
설명 |
---|
1. 차량 통행이 가능하더라도 차를 세우는 것이 안전하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더라도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면, 멈추지 말고 신속하게 터널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불필요하게 정차할 경우, 2차 사고를 유발하고 뒤따르는 차량과 긴급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여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2. 차량 통행이 불가능할 경우 차를 세운 후 자동차 안에서 화재 진압을 기다린다. 매우 위험하며 잘못된 방법입니다. 차량 내부는 화재의 열기와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지 않으며, 화재가 확산되거나 차량 연료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차량 통행이 불가능할 경우, 지체 없이 차에서 내려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
3. 차량 통행이 불가능할 경우 차를 세운 후 자동차 열쇠를 챙겨 대피한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대피 시 자동차 열쇠는 반드시 차에 꽂아두거나 스마트키의 경우 차 안에 두어야 합니다. 이는 사고 수습 및 화재 진압을 위해 출동한 소방차나 구급차의 통행에 방해가 될 경우, 차량을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함입니다. 열쇠를 챙겨서 대피하면 차량 이동이 불가능해 구조 활동에 큰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
4. 하차 후 연기가 많이 나면 최대한 몸을 낮춰 연기가 나는 반대 방향으로 유도 표시등을 따라 이동한다. 가장 바람직한 대응 방법입니다. 터널 화재 시 가장 위험한 것은 유독가스입니다. 연기는 위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몸을 최대한 낮춰 유독가스 흡입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연기 발생 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대피하고, 정전이나 짙은 연기 속에서도 대피로를 알려주는 유도 표시등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