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가 파열되어 제동되지 않을 때에는 추돌 사고나 반대편 차량과의 충돌로 대형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브레이크가 파열되었을 때는 당황하지 말고 저단 기어로 변속하여 감속을 한 후 차체를 가드레일이나 벽 등에 부딪치며 정지하는 것이 2차 사고를 예방하는 길이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가 고장 나면, 엔진 브레이크로 감속한 후 가드레일 등에 차체를 부딪혀 정지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이는 운전자가 통제력을 잃고 더 큰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가장 안전하고 현실적인 비상 대처법입니다.
설명 |
---|
1. Ngay lập tức tắt động cơ. 주행 중 즉시 시동을 끄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시동을 끄면 핸들이 잠기거나(파워 스티어링 기능 상실) 브레이크 배력장치가 작동하지 않아 제동력이 거의 사라집니다. 이는 차량을 완전히 조종 불능 상태로 만들어 더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2. Cài số nhỏ sau đó nhảy ra khỏi xe. 저단 기어로 변속하는 것은 올바른 1차 조치이지만, 주행 중인 차에서 뛰어내리는 것은 극단적으로 위험합니다. 운전자가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사망할 수 있으며, 운전자 없는 차량은 통제 불능 상태로 움직이며 더 큰 2차 사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3. Điều khiển tay lái cho xe chạy theo hình zic zắc để giảm tốc độ. 핸들을 지그재그로 조작하는 것은 타이어 마찰을 이용한 감속법이기는 하나,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내리막길에서는 매우 위험합니다. 차량의 무게 중심을 급격하게 이동시켜 조종력을 잃고 전복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적절한 조치 방법이 아닙니다. |
4. Cài số nhỏ, sau khi tốc độ giảm xuống thì cho xe đâm vào thanh chắn đường hoặc bờ tường. 가장 적절하고 안전한 비상 대처 방법입니다. 먼저 기어를 저단(수동은 2단→1단, 자동은 L 또는 +,- 모드 활용)으로 변속하여 엔진의 저항으로 속도를 줄이는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합니다. 이후 속도가 충분히 줄면, 가드레일, 벽, 산비탈 등에 차체를 스치듯이 부딪쳐 마찰력으로 안전하게 정지시킵니다. 이는 대형 추돌 사고를 예방하는 최선의 선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