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판길에서 차가 미끄러질 때는 핸들을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이 안전하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빙판길에서 차가 미끄러질 때는 차량의 뒷부분이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조작해야 자세를 바로잡고 안정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이는 차량의 회전 관성을 줄여 스핀을 방지하는 가장 기본적인 안전 운전 기술입니다.
설명 |
---|
1. 핸들을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조작한다. 정답입니다. 차량 뒷부분이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부드럽게 조작하는 '카운터 스티어링'은 차량의 회전 관성을 줄여 자세를 제어하고 안정을 되찾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에 명시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정확한 조향장치 조작에 해당합니다. |
2. 수동 변속기 차량의 경우 기어를 고단으로 변속한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수동 변속기 차량으로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출발'할 때는 2단 기어를 사용하면 구동력을 줄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이미 차가 미끄러지는 중에 기어를 급하게 바꾸는 것은 차량의 균형을 깨뜨려 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3. 핸들을 미끄러지는 반대 방향으로 조작한다. 매우 위험한 조작입니다. 차가 미끄러지는 반대 방향으로 핸들을 조작하면, 차량의 회전이 더욱 심해져 통제 불능의 스핀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운전자가 차량에 대한 제어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므로 절대 시도해서는 안 됩니다. |
4. 주차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정차한다.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될 방법입니다. 주차 브레이크(사이드 브레이크)는 주로 뒷바퀴에만 제동을 겁니다. 미끄러지는 상황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뒷바퀴가 완전히 잠기면서 차가 스핀할 위험이 매우 커집니다. 이는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려는 목적과 정반대의 결과를 낳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