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로를 제외한 차로를 반으로 나누어 그 중 1차로에 가까운 부분의 차로. 다만, 1차로를 제외한 차로의 수가 홀수인 경우 가운데 차로는 제외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고속도로의 왼쪽 차로는 1차로(추월차로)를 제외한 나머지 차로를 반으로 나누어 1차로에 가까운 쪽 차로를 말합니다. 편도 5차로 도로에서 1차로를 제외한 4개 차로(2, 3, 4, 5차로)를 반으로 나누면 왼쪽 차로는 2, 3차로가 됩니다. 이 지정차로제는 차량의 속도와 종류에 따라 통행 차로를 구분하여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중요한 규칙입니다.
설명 |
---|
1. Lanes 1 to 2 오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고속도로 1차로는 추월차로이므로 '왼쪽 차로'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1차로를 포함한 이 선택지는 기준에 맞지 않습니다. 왼쪽 차로는 1차로를 제외한 나머지 차로를 기준으로 산정하며, 이 문제에서는 2, 3차로가 해당합니다. |
2. Lanes 2 to 3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9]에 따르면 고속도로의 왼쪽 차로는 1차로를 제외한 차로를 반으로 나누어 그 중 1차로에 가까운 부분의 차로입니다. 편도 5차로에서 1차로(추월차로)를 제외하면 4개의 차로(2, 3, 4, 5차로)가 남고, 이를 반으로 나누면 1차로에 가까운 쪽인 2, 3차로가 왼쪽 차로가 됩니다. 이는 승용차 등 상대적으로 빠른 차량의 통행을 위한 구분입니다. |
3. Lanes 1 to 3 오답입니다. 고속도로 1차로는 추월을 할 때만 이용하는 '추월차로'이며, 지속적인 주행을 위한 '왼쪽 차로'의 개념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지정차로 기준에 따라 왼쪽 차로를 계산할 때는 반드시 1차로부터 제외하고 시작해야 하므로, 1차로를 포함한 이 선택지는 틀립니다. |
4. The second lane only 오답입니다. 편도 5차로 고속도로에서 1차로를 제외하면 4개의 차로(2, 3, 4, 5차로)가 남습니다. 이 4개 차로를 반으로 나누면 왼쪽 차로는 2개, 오른쪽 차로도 2개가 됩니다. 따라서 1차로에 가까운 쪽 절반인 2, 3차로 모두가 왼쪽 차로에 해당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