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차로의 구분을 짓는 차선 중 실선은 차로를 변경할 수 없는 선이다.
② 점선은 차로를 변경할 수 있는 선이다.
③ 실선과 점선이 병행하는 경우 실선 쪽에서 점선방향으로는 차로 변경이 불가능하다.
④ 실선과 점선이 병행하는 경우 점선 쪽에서 실선방향으로는 차로 변경이 가능하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실선과 점선이 함께 있는 차선은 운전자가 있는 쪽의 차선을 기준으로 차로 변경 가능 여부를 판단합니다. 운전자가 있는 쪽의 차선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므로, 점선 쪽에서는 실선 쪽으로 변경이 가능하고 실선 쪽에서는 불가능합니다.
설명 |
---|
1. Where a solid line and a broken line run parallel, you cannot change from the lane near the solid-line to the lane near the broken-line. 정답입니다. 실선은 차로 변경 금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선 쪽에 있는 차량은 점선 쪽으로 넘어갈 수 없습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명시된 원칙으로, 안전 확보를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2. Where a solid line and a broken line run parallel, you can change from the lane near the solid line to the lane near the broken line. 오답입니다. 실선과 점선이 병행할 때, 실선 쪽에 있는 차량은 차로 변경이 금지됩니다. 실선은 넘어갈 수 없는 벽과 같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차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설명은 명백히 틀렸습니다. |
3. Where a solid line and a broken line run parallel, you cannot change from the lane near the broken line to the lane near the solid line. 오답입니다. 점선은 차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점선 쪽에 있는 차량은 실선 쪽으로 안전을 확인한 후 차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은 틀렸습니다. |
4. Where a solid line and a broken line run parallel, you can change from the lane near the broken line to the lane near the solid line. 정답입니다. 점선은 안전을 확보한 후 차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점선 쪽에 있는 차량은 실선 쪽으로 차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따른 규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