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따르는 차와 거리가 있을 때 속도를 유지한 채 차로를 변경하고, 접근하고 있을 때는 속도를 늦추어 뒤차를 먼저통과시킨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안전한 차로 변경은 주변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변경할 차로가 비어있을 때는 속도를 유지해 자연스럽게 합류하고, 뒤차가 접근하면 먼저 보내주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는 교통 흐름을 유지하고 예측 가능한 운전을 하기 위함입니다.
설명 |
|---|
1. 변경하고자 하는 차로의 뒤따르는 차와 거리가 있을 때 속도를 유지한 채 차로를 변경한다. 정답입니다. 변경하려는 차로의 뒤따르는 차와 충분한 거리가 확보된 경우, 속도를 유지하며 진입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이는 갑작스러운 감속으로 인한 후방 차량의 추돌 위험을 줄이고, 전체적인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
2. 변경하고자 하는 차로의 뒤따르는 차와 거리가 있을 때 감속하면서 차로를 변경한다. 오답입니다. 충분한 거리가 있음에도 감속하면서 차로를 변경하면, 뒤따르는 차량이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 부딪혀 급정거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추돌 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매우 위험한 운전 습관입니다. 교통 흐름을 방해해서는 안 됩니다. |
3. 변경하고자 하는 차로의 뒤따르는 차가 접근하고 있을 때 속도를 늦추어 뒤차를 먼저 통과시킨다. 정답입니다. 변경할 차로의 뒤차가 빠르게 접근하고 있을 때는 무리하게 진입하기보다 속도를 약간 늦추어 먼저 보낸 후 안전하게 변경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19조 제3항의 다른 차의 정상적인 통행을 방해할 우려가 있을 때 진로를 변경해서는 안 된다는 규정의 취지와 같습니다. |
4. 변경하고자 하는 차로의 뒤따르는 차가 접근하고 있을 때 급하게 차로를 변경한다. 오답입니다. 급하게 차로를 변경하는 것은 주변 운전자에게 대응할 시간을 주지 않아 매우 위험한 '급차로변경'에 해당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령 [별표 2]에서 규정한 신호 시점(행위 30m 전)을 무시하고,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난폭 운전 유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