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는 그 지점에 이르기 전 30미터 이상의 지점에 이르렀을 때 방향지시기를 조작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차로 변경 시에는 다른 운전자에게 내 차의 움직임을 미리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로교통법령은 일반도로에서는 30미터, 고속도로에서는 100미터 이상 앞에서 미리 방향지시등을 켜는 것을 의사소통의 기본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설명 |
---|
1. Bật đèn báo rẽ trái trước điểm định đổi làn đường tối thiểu 30m (với đường cao tốc là 100m).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1조 및 [별표 2] '신호의 시기 및 방법'에 따르면, 좌회전, 우회전, 횡단, 유턴 또는 진로를 변경하려는 경우 그 행위를 하고자 하는 지점(교차로에서는 가장자리)에 이르기 전 30미터(고속도로에서는 100미터) 이상의 지점에 이르렀을 때 방향지시등을 조작해야 합니다. 이는 주변 차량이 내 차의 진로 변경을 예측하고 대비할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함입니다. |
2. Bật đèn báo rẽ trái trước điểm định đổi làn đường tối thiểu 10m (với đường cao tốc là 100m).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도로에서 10미터는 너무 짧은 거리입니다. 시속 50km로 주행 시 약 0.7초 만에 도달하는 거리로, 뒤따르는 운전자가 이를 보고 안전하게 대응하기에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합니다. 법규에서 정한 30미터는 최소한의 안전거리 확보를 위한 기준입니다. |
3. Bật đèn báo rẽ trái trước điểm định đổi làn đường tối thiểu 20m (với đường cao tốc là 80m).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도로 20미터, 고속도로 80미터는 법규에서 정한 기준과 다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은 차로 변경 시 신호 거리를 명확하게 일반도로 30미터, 고속도로 100미터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보다 짧은 거리는 모두 오답입니다. |
4. Bật đèn báo rẽ trái tại điểm định đổi làn đường. 틀린 설명입니다. 차로를 바꾸는 동시에 방향지시등을 조작하는 것은 신호의 의미가 없습니다. 이는 다른 운전자에게 아무런 예고 없이 갑자기 끼어드는 것과 같아 매우 위험하며, 급정거나 추돌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방향지시등은 '곧 바꾸겠다'는 예고의 의미이지, '지금 바꾼다'는 통보가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