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교차로 설계지침(2022.8, 국토교통부).
1) 회전교차로 설치가 권장되는 경우.
① 교통량 수준이 비신호교차로로 운영하기에는 많고 신호교차로로 운영하기에는 너무 적어 신호운영의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② 교통량 수준이 높지 않으나, 교차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 ③ 운전자의 통행우선권 인식이 어려운 경우.
④ Y자형 교차로, T자형 교차로, 교차로 형태가 특이한 경우 ⑤ 교통정온화 사업 구간 내의 교차로
2) 회전교차로 설치를 권장하지 않는 경우.
① 회전교차로의 교통량 수준이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② 회전교차로 설계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③ 첨두 시 가변차로가 운영되는 경우.
④ 신호연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구간 내 교차로인 경우.
⑤ 교차로에서 하나 이상의 접근로가 편도 3차로 이상인 경우.
운전선생 자체해설
회전교차로는 신호등 없이 차량이 원활하게 소통하고 사고를 줄이기 위해 설치됩니다. 특히 직진 또는 회전 차량 간의 사고가 잦은 교차로에 설치하면, 차량 속도를 자연스럽게 낮추고 통행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여 교통 안전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설명 |
---|
1. Locations where traffic volumes are not very high, but there are many intersection accidents 이 문제는 회전교차로 설치가 필요한 곳을 묻고 있습니다. 회전교차로는 차량이 교차로 중앙의 교통섬을 우회하도록 만들어, 직진 및 좌회전 시 발생하는 충돌 사고를 원천적으로 줄여줍니다. 따라서 사고가 빈번한 곳에 설치하면 교통 안전 확보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근거: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
2. Locations where there are one or more access roads at the intersection with three or more lanes each 편도 3차로 이상의 넓은 도로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며 교통량이 많아 회전교차로에 부적합합니다. 이러한 곳에 회전교차로를 설치하면 오히려 진입과 진출이 복잡해져 사고 위험이 커지고 교통 정체가 발생할 수 있어 권장되지 않습니다. (근거: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
3. Locations where the traffic volume at the roundabout exceeds its capacity 회전교차로는 교통량이 너무 많으면 처리 용량을 초과하여 오히려 극심한 정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회전교차로는 신호등이 있는 교차로보다 처리 용량이 적기 때문에, 교통량이 많은 곳에는 신호 교차로를 설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근거: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
4. Locations where the presence of a roundabout in a segment necessary for signal coordination would reduce the effectiveness of coordination 신호 연동 구간은 녹색 신호를 연속적으로 받아 차량이 멈추지 않고 통과하도록 설계된 곳입니다. 이 구간 중간에 신호가 없는 회전교차로를 설치하면 차량 흐름이 끊겨 연동 효과가 사라지므로, 회전교차로 설치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근거: 회전교차로 설계지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