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1조 제3항 제1호에 따라 자동차의 운전자는 법 제34조의3에 따라 경사진 곳에 정차하거나주차(도로 외의 경사진 곳에서 정차하거나 주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하려는 경우 자동차의 주차제동장치를 작동한 후에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다만, 운전자가 운전석을 떠나지 아니하고 직접제동장치를 작동하고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신설 2018. 9. 28.>1. 경사의 내리막 방향으로 바퀴에 고임목, 고임돌, 그 밖에 고무, 플라스틱 등 자동차의 미끄럼 사고를 방지할 수있는 것을 설치할 것2. 조향장치(操向裝置)를 도로의 가장자리(자동차에서 가까운 쪽을 말한다) 방향으로 돌려놓을 것3. 그 밖에 제1호 또는 제2호에 준하는 방법으로 미끄럼 사고의 발생 방지를 위한 조치를 취할 것
운전선생 자체해설
올바른 주·정차 방법은 나와 다른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필수입니다. 도로에서는 우측 가장자리에 정차해야 하며, 특히 경사진 곳에서는 차량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임목 등 안전 조치를 반드시 취해야 합니다.
설명 |
|---|
1. 도로에서 정차를 하고자 하는 때에는 차도의 우측 가장자리에 세워야 한다.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1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모든 차의 운전자는 도로에서 정차할 때 차도의 오른쪽 가장자리에 세워야 합니다. 이는 다른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운전자가 안전하게 승하차하기 위한 기본적인 안전 규칙입니다. |
2. 안전표지로 주・정차 방법이 지정되어 있는 곳에서는 그 방법에 따를 필요는 없다. 오답입니다. 안전표지로 주·정차 방법이나 금지가 지정된 곳에서는 반드시 그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안전표지는 도로의 특정 상황을 고려하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므로, 운전자는 이를 최우선으로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
3. 평지에서는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 기어를 1단 또는 후진에 넣어두기만 하면 된다. 오답입니다. 평지든 경사지든 차량을 주차할 때는 가장 먼저 주차 브레이크(사이드 브레이크)를 확실히 작동시키는 것이 기본입니다. 수동변속기 차량의 기어를 넣어두는 것은 주차 브레이크 고장에 대비한 추가적인 안전 조치일 뿐, 이 조치만으로는 불충분합니다. |
4. 경사진 도로에서는 고임목을 받쳐두어야 한다.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1조 제3항 제1호에 따르면, 경사진 곳에 주차할 때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후, 고임목을 받치거나 조향장치를 도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려놓는 등 미끄럼 사고 방지 조치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이는 차량이 굴러 내려가는 대형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안전 규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