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자동차에서 하차할 때 문을 여는 방법인‘더치 리치(Dutch Reach)’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더치리치(Dutch Reach)는 1960년대 네덜란드에서 승용차 측면 뒤쪽에서 접근하는 자전거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시작된 교통안전 캠페인이다. 운전자나 동승자가 승용차에서 내리기 위해서 차문을 열 때 창문에서 먼 쪽 손으로 손잡이를 잡아서 차문을 여는 방법이다. 이렇게 문을 열면 자연스럽게 몸이 45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서 뒤쪽을 눈으로 확인할수 있어서 승용차 뒤쪽 측면에서 접근하는 자전거와 오토바이 등과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개문발차사고는운전자 등이 자동차 문을 열고 출발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사고를 말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더치 리치는 하차 시 창문에서 먼 쪽 손으로 문을 열어, 몸을 자연스럽게 돌려 후방을 확인하는 안전 습관입니다. 1번 선택지는 이 방법을 정확히 설명하므로 정답이며, '창문에서 먼 쪽 손으로 문을 여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를 통해 자전거, 오토바이 등과의 개문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설명

1. 자동차 하차 시 창문에서 먼 쪽 손으로 손잡이를 잡아 뒤를 확인한 후 문을 연다.

정답입니다. 더치 리치는 운전석 기준 오른손, 조수석 기준 왼손처럼 창문에서 먼 쪽 손을 사용해 문을 여는 방식입니다. 이 자세는 상체를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후방 시야와 사각지대를 확인하게 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49조 제1항 제7호의 안전 확인 의무를 실천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2. 자동차 하차 시 창문에서 가까운 쪽 손으로 손잡이를 잡아 앞을 확인한 후 문을 연다.

오답입니다. 창문에서 가까운 쪽 손으로 문을 열면 뒤를 돌아보지 않고 문을 갑자기 열게 되어 후방에서 접근하는 자전거, 오토바이 등과 충돌하는 '개문사고'의 주된 원인이 됩니다. 또한 하차 시에는 후방의 안전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앞을 확인'한다는 설명도 옳지 않습니다.

3. 개문발차사고를 예방한다.

오답입니다. '개문발차사고'는 문이 열린 상태에서 차를 출발시켜 일어나는 사고를 의미합니다. 더치 리치는 정차된 차에서 문을 열 때 발생하는 '개문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두 용어는 다른 종류의 사고를 지칭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더치 리치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4. 영국에서 처음 시작된 교통안전 캠페인이다.

오답입니다. '더치(Dutch)'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캠페인은 자전거 이용률이 매우 높은 네덜란드(Netherlands)에서 자전거와 자동차 간의 개문사고를 줄이기 위해 1960년대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영국에서 시작되었다는 설명은 사실과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