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보호구역에 설치되는 보행 신호등의 녹색신호시간은 어린이, 노인 또는 장애인의 평균 보행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설정되고 있다.
어린이ㆍ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 제6조(교통안전시설의 설치).
① 시ㆍ도경찰청장이나 경찰서장은 제3조제6항에 따라 보호구역으로 지정한 시설 또는 장소의 주 출입문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간선도로의 횡단보도에는 신호기를 우선적으로 설치ㆍ관리해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노인보호구역의 보행신호 시간은 일반 신호등과 달리 노인의 평균 보행 속도에 맞춰 더 길게 설정됩니다. 이는 교통약자가 안전하게 횡단할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함이며, 교통약자 배려를 위해 보행신호 시간을 연장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설명 |
---|
1. The speed limit can be set to 30 km/h. 옳은 설명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2조의2(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 제1항에 따라 시장 등은 노인보호구역 내 구간의 자동차 통행속도를 시속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만약의 사고 발생 시 노인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안전 조치입니다. |
2. A "caution" sign can be installed as the duration of the pedestrian signal is the same as that of the normal pedestrian signal. 바르지 않은 설명으로, 문제의 정답입니다. 노인보호구역의 보행신호 녹색 시간은 일반 신호기와 같지 않습니다. 「어린이ㆍ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 제9조 제3항에 따라 노인의 평균 보행속도(0.8m/s 기준)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일반적인 기준(1.0m/s)보다 깁니다. |
3. Extra traffic safety installations e.g. speed bumps can be added. 옳은 설명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2조의2 제5항에 따라 노인보호구역에는 과속방지턱, 미끄럼 방지 포장 등 교통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한 교통안전시설물을 우선적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운전자의 감속을 유도하여 보행자 안전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
4. Signal devices must be prioritized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t crosswalks on arterial roads located closest to the main entrance of the designated facility within the specific zone (e.g. school zone). 옳은 설명입니다. 「어린이ㆍ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 제6조 제1항에 따라, 보호구역 시설의 주 출입문에서 가장 가까운 간선도로의 횡단보도에는 신호기를 우선적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노인들의 주된 이동 경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