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 법률 제5조의 13 도로교통법 제12조제3항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같은 조 제1항에 따른조치를 준수해야 하며,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 법률 제5조의 13 따라 상해에 이른 경우는 1년 이상 15년 이하의징역 또는 5백만 원 이상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안전운전 의무를 위반하여 어린이를 상해에 이르게 하면 '민식이법'에 따라 가중처벌됩니다. 정답은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 상해 사고 시 처벌 기준인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설명 |
---|
1.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상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정답입니다.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13(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어린이 치사상의 가중처벌)에 명시된 내용입니다. 이른바 '민식이법'으로, 어린이 보호구역 내 어린이 상해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운전자의 안전운전 의무를 강조하기 위해 마련된 가중처벌 규정입니다. |
2.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 오답입니다.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은 같은 법 조항에서 어린이를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의 처벌 기준(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과 유사하나, 이 문제는 '상해'에 대한 기준을 묻고 있으므로 해당하지 않습니다. |
3. 2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 오답입니다. 이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사고에 대한 가중처벌 기준이 아닌, 다른 경미한 교통법규 위반에 대한 처벌 수준입니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 사고는 특정범죄가중처벌법에 따라 훨씬 무겁게 처벌되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4. 5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오답입니다. '5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은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3조에 따른 일반적인 교통사고(업무상과실치상 등)에 대한 처벌 기준입니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 사고는 이보다 가중된 처벌이 적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