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골목길에서 갑자기 뛰어나오는 어린이를 자동차가 충격하였다. 어린이는 외견상 다친 곳이 없어 보였고, “괜찮 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경우 운전자의 행동으로 맞는 것은?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교통사고로 어린이를 다치게 한 운전자는 부모에게 연락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다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교통사고 발생 시 피해자가 어린이이고 외견상 다친 곳이 없어 보여도, 반드시 정차하여 어린이를 보호하고 부모에게 연락하는 등 필요한 구호조치 의무를 다해야 합니다. 이를 이행하지 않고 현장을 떠나면 뺑소니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설명

1.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므로 운전자는 가던 길을 가면 된다.

교통사고 발생 시 피해자의 처벌불원 의사와 관계없이, 운전자는 도로교통법 제54조에 따른 구호조치 의무가 있습니다. 어린이가 괜찮다고 해도 현장을 떠나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치상(뺑소니)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2. 어린이의 피해가 없어 교통사고가 아니므로 별도의 조치 없이 현장을 벗어난다.

어린이는 충격으로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고, 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외상이 없더라도 반드시 병원 진료 및 보호자 연락 등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 조치 없이 현장을 떠나는 것은 뺑소니에 해당합니다.

3. 부모에게 연락하는 등 반드시 필요한 조치를 다한 후 현장을 벗어난다.

도로교통법 제54조(사고발생 시의 조치) 제1항에 따라 운전자는 사상자를 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해야 합니다. 피해자가 어린이인 경우, 반드시 부모 등 보호자에게 연락하고 필요 시 병원으로 옮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4. 어린이의 과실이므로 운전자는 어린이의 연락처만 확인하고 귀가한다.

교통사고 발생 시 과실 여부를 떠나 운전자는 우선 사상자를 구호할 의무가 있습니다. 사고의 과실 비율은 추후에 결정될 문제이며, 구호조치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뺑소니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