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말만 믿지 말고 경찰관서에 신고하여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교통사고 발생 시, 특히 피해자가 어린이인 경우 외관상 상처가 없거나 아이가 괜찮다고 말해도 반드시 정차하여 구호조치 후 경찰에 신고해야 합니다. 운전자가 임의로 현장을 이탈하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치상(뺑소니) 혐의로 가중 처벌될 수 있습니다.
설명 |
---|
1. Người điều khiển xe máy hai bánh hỏi trẻ em có bị thương không, nếu trẻ không nói gì thì phán đoán là không bị thương và cho xe đi tiếp. 오답입니다. 어린이가 아무 말 하지 않는 것을 다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현장을 떠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도로교통법 제54조(사고발생 시의 조치)를 위반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뺑소니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2. Người điều khiển xe ô tô dừng xe ngay, quan sát trẻ bằng mắt thường và đánh giá không có chỗ nào bị thương thì cho xe đi tiếp. 오답입니다. 운전자가 육안으로만 어린이의 상태를 판단하고 현장을 이탈하는 것은 도로교통법 제54조의 구호조치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입니다. 내부 출혈 등 보이지 않는 부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병원으로 이송하거나 경찰에 신고해야 합니다. |
3. Người điều khiển xe tải đánh giá rằng trẻ không bị thương sau khi thấy trẻ ngã rồi đứng dậy được luôn và cho xe đi tiếp. 오답입니다. 사고 충격으로 어린이가 놀라 잠시 통증을 느끼지 못하고 일어날 수 있습니다. 운전자의 자의적인 판단으로 현장을 떠나는 것은 도로교통법 제54조 위반이며, 추후 뺑소니로 처벌받을 수 있는 위험한 행동입니다. |
4. Người điều khiển xe đạp sau khi nhìn thấy trẻ bị ngã vụt đứng dậy và chạy thì cần báo cho đồn cảnh sát và chờ ở tại hiện trường.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2조에 따라 자전거도 '차'에 해당합니다. 사고 후 어린이가 현장을 벗어났더라도, 즉시 경찰관서에 신고하고 조치를 기다리는 것이 운전자의 의무(도로교통법 제54조)를 다하는 가장 올바른 행동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