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선생 자체해설
모든 긴급자동차는 원칙적으로 사이렌이나 경광등을 켜야 하지만, 속도위반 단속 등 단속의 실효성을 위해 예외적으로 이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속도위반 단속용 경찰차가 대표적인 예외 사례입니다.
설명 |
---|
1. 불법 주차 단속용 자동차 불법 주차 단속용 자동차도 긴급자동차에 해당하지만, 속도위반 단속과 달리 우선 통행이 필요할 때는 다른 운전자에게 긴급 상황임을 알려야 합니다. 따라서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3조 제1항의 원칙에 따라 사이렌이나 경광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
2. 소방차 소방차는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1분 1초가 시급한 대표적인 긴급자동차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3조 제1항에 따라 사이렌과 경광등을 사용하여 신속히 현장에 도착하고, 다른 차량의 양보를 확보해야 합니다. |
3. 구급차 구급차는 생명이 위급한 환자를 이송하는 긴급자동차이므로, 신속한 이동이 가장 중요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3조 제1항에 따라 사이렌과 경광등을 사용하여 주변 차량에 긴급 상황을 알리고 우선 통행을 확보해야 합니다. |
4. 속도위반 단속용 경찰 자동차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령 제3조 제1항 단서 조항에 따라, 속도위반 단속용 경찰차는 단속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이렌이나 경광등을 켜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단속 사실을 미리 알리면 위반 차량이 속도를 줄여 단속의 실효성이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