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로 변경은 차로변경이 가능한 구간에서 안전을 확인한 후 차로를 변경해야 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차로 변경은 백색 점선 구간에서 다른 차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안전하게 해야 합니다. 백색 실선은 차로 변경이 금지된 구간이며, 급하게 변경하는 것은 주변 운전자에게 예측할 시간을 주지 않아 사고 위험을 높입니다.
설명 |
---|
1. Change lanes as quickly as possible. 차로를 최대한 빠르게 변경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운전 습관입니다. 차로 변경은 주변 교통 상황을 충분히 살피고 방향지시등으로 미리 신호한 후, 다른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고 대비할 시간을 주며 안전하게 해야 합니다. |
2. You can change lanes only in those sections marked with solid white lines. 백색 실선은 차로 변경을 '금지'하는 차선입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따르면 실선은 넘어갈 수 없음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실선 구간에서의 차로 변경은 지시 위반에 해당하며 사고 발생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
3. Change lanes without obstructing traffic.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 등) 제3항은 '모든 차의 운전자는 차의 진로를 변경하려는 경우에 그 변경하려는 방향으로 오고 있는 다른 차의 정상적인 통행에 장애를 줄 우려가 있을 때에는 진로를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갑작스러운 끼어들기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
4. You can change lanes only on a road marked with a white broken line. 정답입니다. 백색 점선은 차로 변경이 허용되는 구간임을 의미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 '노면표시' 규정에 따라, 운전자는 백색 점선 구간에서 안전을 확인한 후 차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