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제동 거리 ② 안전거리 ④ 공주거리
운전선생 자체해설
정지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한 순간부터 브레이크를 밟아 차량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의 총 거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공주거리'와 '제동거리'를 합한 개념으로, 돌발 상황에 대비한 안전운전의 핵심 지표입니다.
설명 |
---|
1.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최종적으로 정지한 거리 이 선택지는 '제동거리'에 대한 설명입니다. 제동거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기 시작한 순간부터 차량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 이동한 거리만을 의미합니다. 정지거리의 일부일 뿐, 전체를 설명하지 못하므로 오답입니다. |
2. 앞차가 급정지 시 앞차와의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 이 선택지는 '안전거리'에 대한 설명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에서 규정하는 안전거리는 앞차가 급정지하더라도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입니다. 이는 정지거리 개념을 바탕으로 충분한 여유를 두는 것이므로 오답입니다. |
3. 운전자가 위험을 발견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실제로 차량이 정지하기까지 진행한 거리 정답입니다. 정지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는 순간(공주거리 시작)부터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차량이 완전히 멈출 때(제동거리 끝)까지의 전체 거리를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안전운전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
4. 운전자가 위험을 감지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브레이크가 실제로 작동하기 전까지의 거리 이 선택지는 '공주거리'에 대한 설명입니다. 공주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까지 차량이 나아간 거리입니다. 운전자의 반응 시간 동안 이동하는 거리로, 정지거리의 일부이므로 오답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