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제동 거리 ② 안전거리 ④ 공주거리
운전선생 자체해설
정지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발견한 순간부터 차량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진행한 전체 거리를 의미합니다. 즉, 운전자의 반응 시간 동안 이동한 공주거리와 브레이크가 작동하며 이동한 제동거리를 합한 거리이므로, 이 모든 과정을 포함한 3번이 정답입니다.
설명 |
---|
1.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최종적으로 정지한 거리 이 선택지는 '제동거리'에 대한 설명입니다. 제동거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기 시작한 순간부터 차량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만을 의미합니다. 위험을 인지하고 반응하는 동안의 '공주거리'가 빠져있으므로 정지거리에 대한 완전한 설명이 아닙니다. |
2. 앞차가 급정지 시 앞차와의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 이 선택지는 '안전거리'에 대한 설명입니다. 안전거리는 앞차의 급정지 등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자신의 정지거리를 고려해 충분히 유지해야 하는 차간 거리를 의미합니다. 정지거리 자체의 정의와는 구별되는 개념입니다. |
3. 운전자가 위험을 발견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실제로 차량이 정지하기까지 진행한 거리 정답입니다. 정지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는 순간부터 브레이크를 조작하고, 그 브레이크가 실제로 작동하여 차량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 이동한 총 거리를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는 '공주거리 + 제동거리'의 개념을 모두 포함합니다. |
4. 운전자가 위험을 감지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브레이크가 실제로 작동하기 전까지의 거리 이 선택지는 '공주거리'에 대한 설명입니다. 공주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고 브레이크 페달로 발을 옮겨 밟기까지, 즉 브레이크가 실제로 작동하기 전까지 차량이 나아간 거리를 말합니다. 정지거리는 이 공주거리 이후의 '제동거리'까지 포함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