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공주거리 ②안전거리 ③제동거리 ④정지거리
운전선생 자체해설
이 문제는 차량 제동과 관련된 여러 거리 용어의 정확한 정의를 묻고 있습니다. 운전자가 위험을 발견하고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전까지 차량이 나아간 거리를 뜻하는 '공주거리'의 개념을 올바르게 설명한 1번이 정답입니다. 이는 안전거리 확보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입니다.
설명 |
---|
1. 공주거리는 위험을 발견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브레이크가 듣기 시작할 때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정답입니다. 공주(空走)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아야겠다고 판단하여, 실제로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직전까지 차량이 '헛되이 달린 거리'를 의미합니다. 운전자의 피로도나 집중력에 따라 이 거리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 정지거리는 앞차가 급정지할 때 추돌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말한다. 오답입니다. 설명된 내용은 '안전거리'에 대한 정의입니다. '정지거리'란 위험을 발견한 순간부터 차가 완전히 멈출 때까지의 거리로, '공주거리'와 '제동거리'를 합한 것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는 모든 차의 운전자가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것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3. 안전거리는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오답입니다. 설명된 내용은 '제동거리'에 대한 정의입니다. '안전거리'는 앞차가 갑자기 멈추더라도 추돌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말하며, 나의 '정지거리'보다 길어야 합니다. 날씨가 좋지 않거나 노면이 미끄러울 때는 더 넓은 안전거리가 필요합니다. |
4. 제동거리는 위험을 발견한 후 차량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오답입니다. 설명된 내용은 '정지거리'에 대한 정의입니다. '제동거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아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차량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진행한 거리를 말합니다. 타이어 상태나 노면 조건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