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다음은 차간거리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르게 표현된 것은?
도로교통공단 공식 해설

①공주거리 ②안전거리 ③제동거리 ④정지거리

운전선생 자체해설

차량의 정지거리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고 브레이크를 밟아 차가 완전히 멈출 때까지의 거리로, 공주거리와 제동거리를 합친 것입니다. 이 문제는 각 거리의 개념을 정확히 아는지 묻고 있으며, 정지거리 = 공주거리 + 제동거리 공식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1번은 공주거리를 올바르게 설명합니다.

설명

1. 공주거리는 위험을 발견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브레이크가 듣기 시작할 때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정답입니다. '공주거리(空走距離)'는 운전자가 위험을 인지하고, 판단하여, 브레이크를 밟기까지 차량이 나아간 거리를 말합니다. 운전자의 피로, 음주, 휴대전화 사용 등으로 반응이 늦어지면 공주거리가 길어져 매우 위험하므로 항상 전방을 주시하고 안전 운전에 집중해야 합니다.

2. 정지거리는 앞차가 급정지할 때 추돌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말한다.

오답입니다. 이 설명은 '안전거리'에 대한 정의입니다. '정지거리'는 내 차가 멈추는 데 필요한 물리적인 거리인 반면, '안전거리'는 앞차의 급정지 등 돌발상황에 대비해 나의 정지거리보다 더 길게 유지해야 하는 실제 차간거리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에서 이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3. 안전거리는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오답입니다.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는 '제동거리'입니다. 제동거리는 차량 속도가 빠를수록, 차량이 무거울수록, 노면이 젖어있을수록 길어집니다. 안전거리는 이러한 제동거리와 운전자의 반응 시간(공주거리)을 모두 고려하여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4. 제동거리는 위험을 발견한 후 차량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오답입니다. 위험을 발견한 후 차량이 완전히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는 '정지거리'입니다. 즉, '정지거리 = 공주거리 + 제동거리'로 계산됩니다. 운전자는 항상 자신의 차량이 완전히 멈추기까지 생각보다 긴 거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운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