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의 파손 등으로 진행할 수 없을 경우에는 차로를 변경하여 주행하여야 하며, 차로변경 금지장소에서는 안전하게 차로를 변경하여도 법규 위반에 해당한다.
차로변경 금지선은 실선으로 표시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도로 위 백색 실선은 원칙적으로 차로 변경이 금지된 구간임을 의미하며, 다리 위나 터널 안과 같이 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 주로 설치됩니다. 반면 백색 점선은 차로 변경이 허용되는 구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1번이 정답입니다.
설명 |
---|
1. Do trên cầu là nơi nguy hiểm nên có nhiều trường hợp hạn chế đổi làn đường bằng vạch liền màu trắng. 정답입니다. 다리 위, 터널 안, 교차로 등은 사고 위험이 높아 안전 확보를 위해 백색 실선으로 차로 변경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명시된 '진로변경 제한선'의 설치 기준에 따른 것으로,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중요한 규정입니다. |
2. Khu vực hạn chế đổi làn đường được biểu thị bằng vạch đứt màu trắng. 잘못된 설명입니다. 차로 변경을 '제한'하는 차선은 백색 실선입니다. 백색 점선은 차로 변경이 '허용'되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따르면 백색 실선은 '진로변경 제한선', 백색 점선은 '진로변경 허용선'으로 명확히 구분됩니다. |
3. Tại khu vực cấm đổi làn đường, không được đổi làn đường cho dù không thể lưu thông do có chướng ngại vật chẳng hạn như công trường đang xây dựng. 잘못된 설명입니다. 도로교통법의 모든 규정은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목적으로 합니다. 도로 공사, 고장 차량, 낙하물 등 부득이한 장애물로 인해 진행이 불가능할 경우, 안전을 확보하며 예외적으로 차로를 변경하여 장애물을 피해야 합니다. 이는 사고 예방을 위한 당연한 조치입니다. |
4. Mặc dù là khu vực cấm đổi làn đường nhưng nếu đổi làn đường một cách an toàn thì không bị coi là vi phạm quy định. 잘못된 설명입니다. 차로변경 금지장소는 백색 실선으로 표시되며, 이곳에서 차로를 변경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법규 위반(진로변경방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주변에 다른 차가 없어 안전하다고 판단하더라도 차로 변경은 허용되지 않으며, 단속 대상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