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선생 자체해설
도로 위 백색 실선은 원칙적으로 차로 변경이 금지된 구간임을 의미하며, 다리 위나 터널 안과 같이 사고 위험이 높은 곳에 주로 설치됩니다. 반면 백색 점선은 차로 변경이 허용되는 구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1번이 정답입니다.
설명 |
---|
1. 다리 위는 위험한 장소이기 때문에 백색실선으로 차로변경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정답입니다. 다리 위, 터널 안, 교차로 등은 사고 위험이 높아 안전 확보를 위해 백색 실선으로 차로 변경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명시된 '진로변경 제한선'의 설치 기준에 따른 것으로,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중요한 규정입니다. |
2. 차로변경을 제한하고자 하는 장소는 백색점선의 차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잘못된 설명입니다. 차로 변경을 '제한'하는 차선은 백색 실선입니다. 백색 점선은 차로 변경이 '허용'되는 구간을 의미합니다.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6]에 따르면 백색 실선은 '진로변경 제한선', 백색 점선은 '진로변경 허용선'으로 명확히 구분됩니다. |
3. 차로변경 금지장소에서는 도로공사 등으로 장애물이 있어 통행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차로변경을 해서는 안 된다. 잘못된 설명입니다. 도로교통법의 모든 규정은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목적으로 합니다. 도로 공사, 고장 차량, 낙하물 등 부득이한 장애물로 인해 진행이 불가능할 경우, 안전을 확보하며 예외적으로 차로를 변경하여 장애물을 피해야 합니다. 이는 사고 예방을 위한 당연한 조치입니다. |
4. 차로변경 금지장소이지만 안전하게 차로를 변경하면 법규위반이 아니다. 잘못된 설명입니다. 차로변경 금지장소는 백색 실선으로 표시되며, 이곳에서 차로를 변경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법규 위반(진로변경방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주변에 다른 차가 없어 안전하다고 판단하더라도 차로 변경은 허용되지 않으며, 단속 대상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