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으로 할인 받고
운전학원 예약해보세요!

QR 코드 이미지
앱스토어 이미지플레이스토어 이미지
운전선생 로고

지금 바로
예약 가능한 학원을 찾아보세요!

돈 이미지

더이상 직접 가서 예약하지 마세요!

돈 이미지

운전학원 최저가로 예약하세요!

    원동기 장치자전거 중 개인형 이동장치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운전선생 자체해설

    개인형 이동장치의 법적 정의에는 등판각도(오르막 각도)에 대한 규정이 없으므로 1번이 틀린 설명입니다. 안전한 이용을 위해 개인형 이동장치의 무게와 최고속도 제한 등 주요 기준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명

    1. 오르막 각도가 25도 미만이어야 한다.

    도로교통법 제2조 제19호의2에 따른 개인형 이동장치의 법적 정의에는 최고속도(시속 25km/h 미만)와 차체 중량(30kg 미만) 기준만 명시되어 있을 뿐, 오르막 각도(등판각도)에 대한 규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바르지 않은 내용으로, 문제의 정답에 해당합니다.

    2. 차체 중량이 30킬로그램 미만이어야 한다.

    도로교통법 제2조 제19호의2에 명시된 개인형 이동장치의 필수 요건입니다. 보행자와 충돌했을 때 충격을 최소화하고 심각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차체 무게를 30kg 미만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3. 자전거등이란 자전거와 개인형 이동장치를 말한다.

    도로교통법 제2조 제20호의2는 '자전거등'을 자전거와 개인형 이동장치로 함께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개인형 이동장치도 자전거도로를 통행할 수 있는 등 일부 동일한 교통 법규를 적용받게 됩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4. 시속 25킬로미터 이상으로 운행할 경우 전동기가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

    도로교통법 제2조 제19호의2에 명시된 개인형 이동장치의 핵심 안전 기준 중 하나입니다. 과속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시속 25km 이상으로 속도가 나면 전동기(모터)의 작동이 자동으로 멈추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