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공기압은 최대 공기압의 80%가 적정하며, 계절에 따라 여름에는 10%정도 적게, 겨울에는 10%정도 높게 주입하는 것이 안전에 도움이 된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이 문제는 타이어 공기압을 계절적 특성에 맞게 조절하는 것의 중요성을 묻고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은 계절에 따라 다르게 관리해야 하며, 항상 10% 높게 유지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운전 습관입니다. 안전 운전을 위해 계절에 따른 적정 타이어 공기압 유지는 필수적인 차량 점검 사항입니다.
설명 |
---|
1. 자동차 주유 중에는 엔진시동을 끈다. 올바른 습관입니다. 주유 중 엔진을 끄는 것은 유증기(기름 증기)에 정전기나 차량 전기 장치 스파크가 튀어 화재나 폭발이 일어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필수 안전 수칙입니다.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8에서도 주유 중에는 자동차의 엔진을 정지시킬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
2. 긴급한 상황을 제외하고 급제동하여 다른 차가 급제동하는 상황을 만들지 않는다. 올바른 습관입니다. 긴급 상황이 아닌데 급제동하는 것은 뒤따르는 차량의 추돌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도로교통법 제19조(안전거리 확보 등)는 모든 차의 운전자가 앞차가 급정지했을 때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방어운전의 기본입니다. |
3. 위험상황을 예측하고 방어운전하기 위하여 규정속도와 안전거리를 모두 준수하며 운전한다. 올바른 습관입니다. 규정속도와 안전거리를 준수하는 것은 모든 운전자가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의무이자, 모든 교통사고 예방의 시작입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17조(자동차등의 속도)와 제19조(안전거리 확보 등)에 명시된 핵심적인 안전 운전 규정입니다. |
4. 타이어공기압은 계절에 관계없이 주행 안정성을 위하여 적정량보다 10% 높게 유지한다.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습관입니다. 타이어 공기압은 온도에 민감하여 계절별로 조절해야 합니다. 여름철에는 기온이 높아 공기가 팽창하므로 평소보다 5~10% 낮게, 겨울철에는 수축하므로 10% 높게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계절에 관계없이 높게 유지하면 여름철에 타이어 파열 위험이 커져 매우 위험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