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환경의 변화가 단조로운 고속도로 등에서의 운전은 시가지 도로나 일반도로에서 운전하는 것 보다 주의력이 둔화되고 수면 부족과 관계없이 졸음운전 행동이 많아진다.
아울러 음주운전을 할 경우 대뇌의 기능이 둔화되어 졸음운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감기약의 경우 도로교통법상 금지약물은 아니나 졸음을 유발하는 성분이 함유된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복용 후 운전을 하는 경우 유의하여야 하며, 운전하여야 할 경우 복용 전 성분에 대하여 약사에게 문의한 후 복용할 필요가 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졸음운전은 음주, 약물 복용 등 의식적인 상태 조절이 필요한 모든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기약 복용이나 음주 시에는 판단력과 신체 반응 능력이 저하되어 졸음운전의 위험이 커지므로 절대 운전해서는 안 됩니다.
설명 |
---|
1. If drowsy while driving, you must consume more caffeine and change lanes more often to avoid monotonous driving. (오답) 피로할 때 카페인 섭취는 일시적인 각성 효과만 있을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닙니다. 특히, 졸음을 쫓기 위한 잦은 진로 변경은 도로교통법 제48조(안전운전 의무)를 위반하는 난폭운전으로 이어져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
2. Your alertness improves on roads with fewer variations and potential hazards, thus reducing the risk of drowsy driving. (오답) 고속도로와 같이 단조로운 도로 환경에서는 운전자의 주의력이 오히려 저하되고 긴장이 풀려 졸음운전의 위험성이 더 높아집니다. 이를 '고속도로 최면 현상'이라고도 하며, 수면 부족과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3. Avoid driving if you have taken cold medicines since they may cause drowsiness. (정답) 감기약, 알레르기약 등에 포함된 항히스타민 성분은 졸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도로교통법 제45조는 약물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어려울 우려가 있는 상태에서의 운전을 금지하고 있으므로, 약 복용 후에는 운전을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4. Alcohol deactivates certain cerebral functions and increases the chance of drowsiness. (정답) 음주는 대뇌 기능을 억제하여 판단력, 반응속도 등 운전에 필수적인 능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졸음을 유발합니다. 도로교통법 제44조에서 술에 취한 상태의 운전을 엄격히 금지하는 이유이며, 음주운전은 졸음운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