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 환경의 변화가 단조로운 고속도로 등에서의 운전은 시가지 도로나 일반도로에서 운전하는 것 보다 주의력이둔화되고 수면 부족과 관계없이 졸음운전 행동이 많아진다. 아울러 음주운전을 할 경우 대뇌의 기능이 둔화되어졸음운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감기약의 경우 도로교통법상 금지약물은 아니나 졸음을 유발하는 성분이 함유된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복용 후 운전을 하는 경우 유의하여야 하며, 운전하여야 할 경우 복용 전 성분에대하여 약사에게 문의한 후 복용할 필요가 있다.
운전선생 자체해설
감기약 복용이나 음주와 같이 정상적인 운전이 어려운 상태에서는 졸음운전의 위험이 매우 커지므로 운전을 피해야 합니다. 약물 복용이나 음주 후에는 절대 운전하지 않는 것이 안전 운전의 기본이며, 단조로운 도로는 오히려 졸음을 유발함을 기억해야 합니다.
설명 |
---|
1. 피로한 상황에서는 졸음운전이 빈번하므로 카페인 섭취를 늘리고 단조로운 상황을 피하기 위해 진로변경을 자주한 다. 오답입니다. 피로할 때 카페인을 섭취하는 것은 일시적인 각성 효과만 있을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닙니다. 특히, 졸음을 피하기 위해 진로 변경을 자주 하는 행위는 도로교통법 제46조의3(난폭운전 금지)에 해당할 수 있으며, 다른 운전자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
2. 변화가 적고 위험 사태의 출현이 적은 도로에서는 주의력이 향상되어 졸음운전 행동이 줄어든다. 오답입니다. 고속도로와 같이 변화가 적고 단조로운 도로 환경은 운전자의 주의력을 오히려 저하시키고 긴장감을 완화시켜 졸음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이를 '고속도로 최면 현상'이라고도 하며, 수면 부족과 관계없이 졸음운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
3. 감기약 복용 시 졸음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운전을 지양해야 한다.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45조(과로한 때 등의 운전 금지)에서는 약물의 영향으로 정상적으로 운전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상태에서의 운전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감기약 등에 포함된 항히스타민제 성분은 졸음을 유발하여 반응 속도와 판단력을 저하시키므로, 복용 후에는 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
4. 음주운전을 할 경우 대뇌의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졸음운전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정답입니다. 도로교통법 제44조(술에 취한 상태에서의 운전 금지)는 음주운전을 엄격히 금지합니다. 알코올은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뇌 기능을 저하시키고 졸음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물질입니다. 음주 상태에서 운전하는 것은 졸음운전의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매우 위험한 행위입니다. |